본문 바로가기

국민은행 고객센터 확인

오늘은 국민은행 고객센터 확인을 해 보았다.

경우에 따라서 고객센터 전화번호를 알아서 전화를 해야 할 상황은 분명히 있게 된다. 상담원을 연결을 하거나 각종 신고등을 해야 할 때 이용을 하게 되는데 나 같은 경우도 몇몇가지의 이유로 이용을 해본적이 있다.


몇번 지점과 거래를 하게 되면 지점전화번호로 문자알림이 오거나 전화를 해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 그런 경우를 제외하고 대표 전화번호와 그와 관련된 부분들을 한번 확인해 보도록 하자.


국민은행 고객센터 확인


먼저 국내 대표 전화번호는 국민은행 같은 경우는 3개가 있다.


1644-9999번과 1599-9999번, 1588-9999이 그것이다.


해외에서 해야 할 경우는 82-2-6300-9999번이다. 상담을 위한 전용 창구는 1800-9999번이고 이 번호는 분실이나 사고신고 등은 제외한 부분이다.


이렇게 연중 무휴 24시간 접수를 할 수 있는 전화번호는 이 부분 이외에도 전문적인 영역으로 여러가지 번호가 마련이 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사용을 하면 된다.


어떤 것이 있을까?


- 외국인 전용 : 1599-4477

지원언어는 영어를 비롯하여 중국어,일본어,베트남어,러시아어,캄보디아어이다.

- 어르신 전용은 1644-3308번

- 수화상담은 070-7451-9901(9902)


전화를 하게 되면 어디든 대부분 ARS 서비스 코드 안내를 먼저 들을 수 있기 때문에 그와 관련된 부분을 확인해 보자.


언제 무엇을 이용할 지 모르기 때문에 폰뱅킹 ARS 관련해서 한번 훑어서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거 같다.


대부분 0번은 상담직원 연결이다.

1번은 국민은행으로 송금 2번은 타행 송금이다.


98번을 누를 경우는 메뉴 안내를 다시 들을 수 있다. 나 같은 경우는 보통 한번 듣고 끝나는게 아니라 두번정도 적어도 다시 들어야 하는 경우가 많아서 아예 홈페이지 등에서 표를 미리 한번 찾아보는 습관 아닌 습관이 생겼다.


내가 편하기 위해서라고 해야 하나.


아무튼 먼저 초기 단축코드 부분이다. 


두번째로는 샵을 이용한 빠른말 서비스이다.

몇몇 서비스에 따라서는 시간이 있기 때문에 이 부분도 염두해 둬야 한다.



KB스타뱅킹앱이 잘 되어 있기 때문에 전화를 걸어서 하는 빈도수는 이전보다 줄어 들었긴 하지만 찾아보다가 찾지 못하겠으면 전화를 해서 물어보는 편이 오히려 빠른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와 관련해서도 나 역시 몇번 그런적이 있는거 같다.


부수적으로 국민은행 고객센터에 전화를 걸어서 제공이 되는 서비스별 코드를 몇개를 알아보자.

앞쪽 분류라고 명시되어 있는 부분을 전화를 한 뒤에 바로 누르면 넘어간다. 뒤 쪽 서비스명은 꼭 순서대로 안내를 하지 않고 빈도수가 높거나 중요한것이 먼저 나오는거 같다.


예를 들면 *을 누르면 7번이 먼저 안내가 된다던지..



그리고 국민은행 홈페이지를 가 보면 채팅상담을 한다던지 이메일상담등을 이용을 할 수 있는 채널이 추가적으로 있다.


오프라인 지점을 방문하기 위해서 방문예약 서비스등도 할 수 있는데 공인인증서나 휴대폰 등의 인증 수단이 필요하다.


필요에 따라서 그리고 개개인의 편한 방식이나 상황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는 부분이 다양하게 있다. 


국민은행 홈페이지를 가서 검색을 하거나 위쪽 전체서비스에서 고객센터부분을 눌러보면 자세하게 나와 있다.물론 몇몇부분은 자주 찾는 질문등에 궁금한 내용을 입력을 해서 이미 정리가 되어 있는 부분이 있는지 보고 있다면 읽어보는 것도 좋다.

나는 자주 사용하고 오래 사용한 은행중의 하나가 국은이기 때문에 스타앱도 깔려있고 고객센터 번호나 서비스코드 등은 내가 필요한 부분은 메모를 이미 해두었다.


순간 몇초나 몇분 안되는 시간이긴 하지만 필요한 그 순간만큼이 주는 답답함을 이길 수 없기 때문에 미리 정리를 해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