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씩 관심이 가는 API로 구현을 해보기는 하는데 이번에 나온 공적 마스크 API에도 관심이 간다.
상황도 상황이거니와 마스크를 사러 여기저기 다녔지만 못 산 경우가 많다.이를 활용하여 조회하는 서비스는 몇몇개 나와 있다.
구입을 위해 가야할 경우 실시간으로 내 주변 현황을 알 수 있으면 편하다.
재고에 대한 정보는 4단계로 나뉘어서 표기가 된다.
100개이상(녹색), 30~99개(노랑색), 2~29개(빨강), 0~1개(회색)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공을 하는 것으로 데이터고에 가서 보면 알 수 있고 공지로도 현재 올라와 있다.
개발자를 위한 공적마스크 데이터 개방 및 활용 안내 부분을 읽어보면 된다.
매일 갱신되는 정보는 오전 8시에서 오후 23시까지 운영이 된다고 한다.
실 데이터야 약국등에서 판매 후 전산 입력을 하면 반영이 되어 나타나겠지.
입력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실시간이라고 해도 실제 약국재고와 데이터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해야 한다.
관련 주소
https://www.data.go.kr/information/NOTICE_0000000001620/notice.do
https://www.data.go.kr/dataset/15043025/openapi.do
https://app.swaggerhub.com/apis-docs/Promptech/public-mask-info/20200307-oas3#/
https://app.swaggerhub.com/apis/Promptech/public-mask-info/20200307-oas3#/
/stores/json은 약숙/우체국/농협등의 마스크 판매처 정보
/storesByGeo/json은 중심 좌표 위경도를 기준으로 해서 반경안에 위치하는 판매처 및 재고 상태등의 정보.
/storesByAddr/json 파라메터
code, name, addr, type (판매처 유형 약국 01, 우체국 02, 농협 03)
/storesByGeo/json은 위경도 반경을 중심으로
/storesByAddr/json은 주소를 기준으로 각 판매처와 재고상태에 대한 내용이 날아온다.
이 데이터와 네이버나 구글, 카카오맵을 활용해서 맵에 마커를 찍고 마커를 가공해서 표기를 해주면 된다.
맵의 깊이에 따라서 데이터를 가공해서 노출시키면 될 거 같다.시간날 때 만들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