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봉 3000 실수령액 정리

일을 하고 급여를 받는 부분은 꽤 중요한 부분이다.


기왕이면 좋은 조건에 많은 연봉을 받고 싶어 한다.열심히 일을 하고 그에 상응 하는 보상을 받게 되면 일하는 입장에서도 신이나고 의지가 되기도 한다.


모처럼 연봉 3000 실수령액 정리를 해보았다.

이전에 숱하게 연봉 금액별로 이리저리 알아보기도 했었다.그 땐 금액별로 궁금했고 1년이 지나서 재협상을 할 때 어느정도면 될까 하고 따져보기도 했었다.


뭐 물론 지나고 나면 잊어버려서 다시 알아봐야 하지만



가만히 앉아서 숨만 쉬고 있어도 고정적으로 나가는 금액이 있고 고정은 아니지만 매달 매일 써야 하는 금액이 있으면 받는 금액과 비교를 해보게 된다.


마음에 드는 회사가 있거나 연봉 xxx다 라고 들었을 때 순간 월급은 어떻게 되는거지 하고 계산을 할 때도 있고 거기서 세금등을 빼고 실수령액은 통장에 얼마가 들어오지등도 머리속으로 생각해본다.


물론 그런 상황이 오기전에 미리 찾아보고 기억을 해둔다.


그리고 퇴직금이 포함인지 별도인지 부양 가족수나 자녀수, 비과세액에 따라서 어떻게 되는지 연봉 3000의 경우는 어떻게 될까


혼자라고 치고 비과세액은 10만원이 빠진다고 가정하고 퇴별일 경우 월 대략 2,247,640을 받을 수 있다.



각 공제되는 항목별로 간단하게 보자.


1.국민연금 : 10만 8천원

2.건강보험 : 8만 40원

3.장기요양 : 8천 200원

4.고용보험 : 1만 9200원

5.소득세 : 3만 3천 570원

6.지방소득세 : 3천 350원

해서 총 252,360이 빠진다.


순서대로 요율은 4.5% / 3.3335% / 건강보험의 10.25% / 과세금액의 0.8%이고


지방소득세는 소득세의 10%.


부양 가족수가 본인을 포함해서 더 늘어나거나 20세 이하 자녀수가 있으면 소득세가 그에 맞게 줄어든다.


퇴포일 경우는 혼자일 경우 2,080,992원이 대략 받는 금액이 된다.

공제 합계는 226,700원.


국세청 간이세액표등을 참고해서 비교를 해보면 득세는 대략 어떻게 되는지 알 수 있다.


어디서 받고 있는 곳은 이전 포스팅에서 참조를 하면 된다.


https://sway.tistory.com/entry/근로소득-간이세액표-엑셀-어디


그 밖에 직접 계산을 해볼려면 대부분의 포털사이트에 연봉 계산기로 조회를 해보면 나온다.


나는 사람인에서 제공하는 부분을 자주 쓴다. 서브 메뉴가 나와 있는 경우는 자료통을 눌러서 바로 가보자.



왼쪽에 보면 필요한 메뉴가 보인다.


연봉이나 월급, 퇴별, 퇴포 등 몇가지 옵션을 선택해서 알아보고 싶은 것을 선택하고 금액을 넣어 보면 금방 해 볼 수 있다.


단순하게 3000이니까 나누기 12하면 한달에 얼마 받겠구나가 아니라 실제 뺄거 빼고 들어오는게 얼마인지 알 필요가 있다.


이렇게 연봉 3000 실수령액 정리를 해보았다.

그 밖에 2800은 대략 210만원이고 2600은 200만원 아래로 떨어지는데 195만원 정도 된다.


반대의 경우 한달에 받는 금액이 이만큼인데 연봉으로 환산 하면 얼마가 될까도 정말 많이 해봤었기도 했던게 생각이 난다.


물론 요즘도 가끔은 해보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