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entOS]yum으로 APM설치 간단히 해결하기

[출처]http://blog.bits.kr/11


CentOS는 RedHat Enterprise의 클론 리눅스다.. 무료로 RHEL의 검증되고 안정된 서버를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서버용으로 설치한다고는 해도 설치과정은 GUI로 할 수 있으니 파티션 잡는 것만 잘 넘어간다면 어려운 것은 없으니 언급하지 않겠다. 기회가 되면 이것도 한번 다뤄보는 것도 좋을 듯 싶기도 하고..

참고로 좀 안다 싶은 사람들을 위한 것이 아닌 본인처럼 완전 개초보를 위한 글이므로 이 글을 읽는 사람 중에 이건 아니다 싶은 사람은 미련 없이 "GET OFF!!"하기 바란다


사실 APM설치에 대해 인터넷에서 검색해보면 굉장히 많은 자료가 나오고 그 자료 마다 컴파일 하는데 있어서의 방법 등에 있어서 상당히 다른 방법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


그들을 무시 하는 것은 아니지만 초보가 보기에는 상당히 혼란스럽고 어렵기만 하다. 또한 안정적으로 검증된, 제공된 방법으로 설치를 하고 싶을 수도 있고..

세세한 커스터마이즈는 나중에 해보기로 하고 지금 당장 설치를 원하는 초보들을 위해 yum으로 설치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더 쉬운 건 첨에 설치할 때 패키지 설치 해버리면 끝이겠지만......)

더보기



일단 인터넷이 되는지 확인 해보자 그래야 yum이던 뭐든 할것이다. 구글사마께 핑을 드려보자.
# ping -c3 google.com
자 핑이 잘 뜨면 인터넷은 잘 된다고 보고~ 이제 본격적으루다가..

apacahe, mysql, php순으로 APM 설치
# yum -y install httpd
# yum -y install mysql
# yum -y install php

보통 알아서 빠른 미러를 찾아 의존성까지 확인해서 연계된 필수 패키지까지 알아서 설치 해준다.

관련 라이브러리 설치
# yum -y install gd gd-devel
# yum -y install libpng libpng-devel
# yum -y install libjpeg libjpeg-devel
# yum -y install freetype freetype-devel
# yum -y install fontconfig  fontconfig-devel
# yum -y install libxml2 libxml2-devel
# yum -y install openssl openssl-devel
# yum -y install gmp gmp-devel
# yum -y install mhash mhash-devel
# yum -y install libmcrypt libmcrypt-devel
# yum -y install mysql-server
# yum -y install php-mysql
# yum -y install php-devel
# yum -y install php-gd
# yum -y install php-mbstring
# yum -y install php-mhash
이 밖에도 pear나 pear-MDB2등 원하는 패키지를 설치 할 수도 있다.
* 제일 처음에 나오는 gd를 설치하면 뒤에 나오는 libjpeg, libpng, freetype, fontconfig과 같이 자동으로 설치되지만 혹시나 하는 분들은 확인겸 설치 해보기 바란다.

이제 세세한 설정을 하자
mysql에서 사용할 환경 설정파일을 복사해야 하는데 시스템에 따라서 좀 다르다. 아래를 참조하자
my-huge.cnf       1GB 이상 메모리
my-large.cnf       512MB ~ 1GB
my-medium.cnf  128MB ~ 256MB
my-small.cnf      64MB 이하
# cp /usr/share/mysql/my-large.cnf /etc/my.cnf
본인은 Virtual Box로 설치해봤는데 512여서 large를 사용했다.

기본관리 db를 설정하고, 권한지정도해주자
# cd /usr/bin
# /usr/bin/mysql_install_db --user=mysql
# chown -R root /usr/bin/
# chown -R mysql /var/lib/mysql/
# chgrp -R mysql /usr/bin/

이제 콘솔에서도 mysql 명령들을 사용 할 수 있도록 등록해보자.
# vi ~/.bash_profile
PATH부분에 다음과 같이 추가 한다
PATH=$PATH:$HOME/bin:/usr/bin

지루한 mysql 설정은 이제 다 끝났다 다만 재부팅 후 자동으로 실행 할 수 있도록 등록만 해주면 된다. 일단 확인 해보자.
# chkconfig  --list | grep mysqld
mysqld  0:off 1:off 2:on 3:on 4:on 5:on 6:off
위와 같이 나오지 않는다면?
# chkeconfig --level 2345 mysqld on
다시 확인해 보면 원하는 대로 되어 있을 것이다.

이제 mysql를 시작하고 루트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mysql은 끝내자.
# /etc/rc.d/init.d/mysqld start
# /usr/bin/mysqladmin -uroot password 비번

동작은 하나?
# netstat -lntp
위와 같은 명령에서 보이는 결과중 "mysqld"  ":::3306" 뭐 이런 글귀가 보이면 정상적으로 동작한다고 생각해도 된다.

php설정
vi /etc/httpd/conf.d/php.conf

제일 마지막 줄로 가서 'i' 키를 누르고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AddType application/x-httpd-php-source .phps .php .html .htm


 수정이 끝났으면 확인한뒤 'esc' 키를 누르고 ':' 누른 wq라고 입력한 엔터를 치면 저장되고 빠져 나온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httpd.conf 파일을 아래와 같이 굵은 글씨 부분으로 추가/수정한다.

<ifModule dir_module>
DirectoryIndex index.html index.htm index.php
</ifModule>

<ifModule mime_module>
AddType application/x-httpd-php .php
AddType application/x-httpd-php-source .phps
</ifModule>



*  
사실 vi vim 리눅스의 에디터는 윈도우즈에 익숙한 사람에게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