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라인 지점에 방문해서 은행 업무를 봐야 할 경우도 있다.
그리고 공인인증서를 통한 온라인으로 이체나 여러가지 업무를 하는게 보편화 되어 있고 없으면 불편하다.
모처럼 하나은행 인터넷 뱅킹 시간 정리를 해보았다.
은행에 따라서 약간씩 다르긴 하지만 크게 보면 대체로 비슷한 부분은 있다.
그래도 오분 십분 차이는 기다리는 입장에서 지루하기는 하다.
오늘 중으로 처리를 할 수 있을 지 아니면 기다리다가 다음날로 미뤄야 할지 등.
애매한 부분이 있는데 그럴 때 정확하게 시간을 알고 있으면 정하는데 좀 더 수월해 진다.
가끔쓰는 곳이라면 그나마지만 그게 아니고 매일매일 자주 써야 하거나 주거래일 경우는 나 같은 경우는 몇가지 자주 쓰는 서비스는 꼭 시간을 기억해 둔다.
그러면 어떠한 부분이 다른지 확인을 해보자.
폰뱅킹도 비슷하긴 한데 함께 알아보자.
단순 조회 같은 경우는 언제나 가능한 시간이기는 하다. 여기엔 적금이나 부금 납입이나 예금 신규, 예금해지, 자기앞수표조회등이 해당한다.
평일이나 주말 혹은 공휴일 모두 같은 시간이다.
청약 예적금 이용시간은 별도로 있는데 오전 8시부터 22시까지이다.
그리고 타행 자기앞수표를 조회해야 하는 경우에는 시간이 오전 8시부터 오후 23시까지이다.
이처럼 같은 조회라도 약간의 차이는 있으니 한번 살펴볼 필요는 있다.
아래 몇가지는 주말이나 토요일은 이용을 할 수 없는 부분이다.
외화 얘금 해지 : 09~20시
집합투자증권의 신규 및 환매 : 09 ~ 17시
신탁 납입 : 00~ 24시 / 기준가상품 : 10 ~ 24시(통장계좌번호 끝자리 57)
그 다음 이체 관련부분이다.
당행이체 : 24시간
- 가상계좌의 입금일 때는 자금정산 시간인 23시 40~ 00시 20, 16:30 ~ 16:35분은 이용이 불가)
타행이체 : 24시간
- 금융결제원 자금정산 시간대인 23시 50~ 00:05분은 불가
예약(당,타) : 24
- 해당 실행일이 토요일을 포함하여 공휴일인 경우와 결제원 시간대인 평일 23시 50~ 00:05는 예약이체 불가
내역 조회 : 24
그리고 카드 관련은 선결제 및 취소는 09시 부터 21시까지, 연체대금 현금섭스는 09~ 16시(주말 이용 불)
공과금 납부 : 지로/지방/국/관세/생활요금/부담금/벌과금 및 기금/기타 국고 : 00:30 ~ 23:30
보관금 : 영업일 24시간 납부(주말불)
송달료 : 영업일 09 ~ 18(주말불)
대학등록금 : 09 ~ 16:30(평)
외국환거래은행지정등록은 09 ~ 16시(평)
국내즉시송금 타행외화계좌이체 : 09 ~ 16:30(평)
당행외화계좌이체 : 09 ~ 20
외화송금 : 24시간이나 남아공이나 러시아 멕시코 등의 일부 통화는 은행 영업일 기준으로 09 ~ 16시까지만 가능
환전지갑 : 가능시간은 24시간
수령 가능시간은 일반영업점은 09 ~ 16시
인천국제공항 지점 및 환전소는 06~21시(365일)
외화 ATM은 06 ~ 21시(설치 위치는 인천공항 지점 내 위치)
하나은행 홈페이지에서 좀 더 세세한 정보를 찾아볼려면 접속 후 고객센터 페이지 내를 찾아보면 쉽게 확인해 볼 수 있다.
같은 서비스라도 점검시간등이 매일 있으므로 진행할려고 하는 업무별로 조금은 다르다.
평일 낮시간대야 이러한 생각을 할 필요가 없지만 밤늦게 갑자기 생각이 난다던지 미리 예약을 해야 할 상황이라던가 그러한 경우는 생각보다 잦다.
모처럼 하나은행 인터넷 뱅킹 시간 정리를 해보았다.
공인인증서로 폰에서도 간단하게 대부분의 업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언제까지 인지 정도만 알아두면 무한정 기다리거나 답답한 상황을 피할 수는 있다.
나도 한 몇번은 갑자기 새벽에 볼일을 봐야 할 상황이 뜻밖에 생겨버려서 그 땐 그런걸 몰라서 포기하고 양해를 구했던 적도 있다.
여러 페이지를 찾아보면 그 밖에도 필요하거나 의외의 정보를 얻어볼 수가 있어서 가끔은 가보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