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휴 수당 계산기 정리

여러가지 급여나 시급 계산기 등을 활용해서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실제로 체크를 해볼 수 있다.


일을 하거나 아르바이트를 구한다면 당연히 관심을 갖게 되는 요소다.


이번은 주휴 수당 계산기 활용을 통해서 어디서 하고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았다.

일주일동안 15시간 이상의 근로일수를 개근을 하면 지급이 되는 것으로 그 대상자는 방금 말한것과 같다.


맥시멈은 정해져 있는데 최대 40시간까지이다. 


법정근로시간에 따라서 그렇고 실제 시간에 대비해서 얼마가 될까


주휴 수당 계산기 정리


계산된 기본적인 공식이야 한주간 총 일한 시간을 40시간으로 나누고 그것을 8시간으로 나고 시급을 곱하면 된다.


40 / 40 X 8 X 시급이 될려나.


수동으로 해도 되겠지만 그래도 좀 더 편하게 이미 제공되고 있는 계산기를 통해서 활용을 해보면 편하다.


구인구직과 관련된 유명한 취업 홈페이지에서 대부분은 서비스를 제공을 하고 있으므로 어디에 있는지 확인을 해보면 계산해 볼 수 있다.


그중에서 알바몬을 살펴보자.단기 아르바이트나 재택 상주 일거리를 찾기 위해서 자주 이용하는 곳으로 나에게는 꽤 유용한 정보들이 많이 있다.


알바몬 시급 계산기


모바일이나 앱이나 편한것을 아무거나 이용을 해도 같은 기능을 쓸 수 있다. 기본적으로 pc에서 보는 부분을 알아보도록 하자.


첫 화면은 다양한 지역별 알바나 하루 알바 등등의 소식들이 보여진다. 쭈욱 아래쪽을 내려가보면 스크롤 마지막 부분에 2019 최저 임금 시급 8350이라는 숫자와 함께 몇가지 정보들이 있다.


주휴수당


자세히 보기를 누르면 알바의 상식과 관련된 페이지가 나오는데 여기서 할 수 있다.


계산기


팝업창으로 뜨는데 눌러도 반응이 없으면 차단을 브라우저에서 했는지 체크를 해보도록 하자. 그렇지 않다면 일반적으로 뜬다.


최초 탭은 알바급여 계산기로 시급등을 입력해서 해볼 수 있다.


한시간에 얼만지 일일 근무시간 일주일 근무일수, 그리고 연장이 있으면 기입 하고 세금 포함 미포함이나 수습기간등의 조건을 넣으면 결과값이 나타난다.


그 옆의 탭을 눌러보자.

시급과 주휴수


한주에 40시간 이상 일하고 시급이 8350원이라면 예상 주휴수당은 66800원이다.


앞 서 말했던 공식을 대입을 해도 결과는 같이 나온다.


(1주 근무시간 / 40 * 8 * 시급 )


39시간 : 65,130

38시간 : 63,460

37 : 61,790

36 : 60,120

35시간이라면? 58,450원

30시간이라면? 50,100원


하루에 8시간 3일 일했다면? 다 곱셈 나눗셈이기 때문에 굳이 괄호가 필요 없지만 그래도 구별을 위해 보면 ( 8 * 3  ) / 40 * 8 * 8350 = 40,080이 나온다.


4일은? 53,440이다.


이렇게 여러가지에 따라서 손쉽게 해볼 수 있다.물론 시급이 틀린 경우는 알고 있는 부분을 넣으면 다르게 나온다.


이렇게 주휴 수당 계산기 활용을 알바몬을 통해서 하는 부분으로 살펴보았다.

실제 급여부분은 세금이나 여러가지 상황에 따라서 틀릴 것이므로 미리 확인을 해보면 좋을 거 같다.해당 페이지의 다른 메뉴인 4대보험이나 근로등에 대한 내용이 잘 정리가 되어 있으므로 좀 더 알고 싶다면 읽어보면 도움이 된다.


지금이야 나는 공식이 기억이 나서 해보지만 시간이 지나면 또 금세 잊어버리기 때문에 이러한 곳 몇군데를 꼭 기억을 해두고 있다.


사이트를 알아도 메뉴 어디에 있는지 기억이 안나기 때문에 어딘가에 기록을 해둔다.


어렵지는 않으므로 다음에 기회가 되면 한번 만들어 봐야 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