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에 새로 설치를 해보았다.
구입한지 오래된 구형 컴은 어떤지 테스트겸 궁금해 졌다.
이렇게 이번은 윈도우10 설치 후에 몇가지 셋팅도 당연히 해야 한다.
기본 메인보드나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를 설치를 하고 브라우저를 띄우보고 이리 저리 눌러본다.
해상도가 맞는지 인터넷은 되는지 소리는 나는지.
실제 설치 시간은 얼만큼 되는지
iso로 만들어서 rufus나 별도 미디어 없이 시도하는 것을 해보려 했지만 이미 하나 만든것이 있고 이번은 그냥 이걸로 해보았다.
usb 메모리에 윈도우10 부팅을 만들고 난 다음에 시도를 했다. 이전에는 정말 많이 설치를 했던 os인거 같은데 한동안은 그럴 일이 없어졌다.
컴퓨터에 dvd-rom이 있으나 한번도 사용을 안한지 정말 몇년은 된거 같다.
구해오는 각종 자료들도 cd나 dvd 미디어로 오는 경우는 없고 메일이나 메모리카드로 전달이 되어서 사실상 쓸 경우가 없다.
pc 조립을 할 때 꼭 끼워 넣던 것이 odd였는데 지금은 아예 없는 컴도 많다.
윈도우10을 usb에 담은 것은 이전포스팅을 참고 하면 된다.
바이오스로 진입을 해서 내 메인보드가 UEFI를 지원하는지 GPT파티션인지 등등과설치전에 UEFI나 레거시 모드 등 구형 신형 바이오스, 파티션 등등의 이슈가 있는데 복잡하게 말고 우선은 단순히 설치만 알아보자.
설치가 안되면 안되는대로 그 때 찾아보면 되기에.
우선은 USB 부팅 디스크를 만들고 부팅 후 설치를 하고 까지를 해보자.
만든 것을 PC에 꽂고 부팅을 한다. 순서를 바꿔줘야 하기 때문에 전원을 인가하고 F2를 누른다.
Boot 메뉴로 이동 후 순서를 바꾸어 준다. 나 같은 경우 선택된 항목을 상위로 올리려면 F5/F6으로 위아래 조절을 해서 제일 위로 올리면 된다.
보여지는 usb 메모리를 제일 위로 올려준다.
바이오스 화면은 보드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으나 비슷한 메뉴는 다 있다.
그리고 저장을 하면 리부팅이 된다.
부팅이 시작되고 윈도우 로고가 보이고 로딩이 된다.
그리고 첫화면이 등장한다. 설치할 언어, 시간, 키보드 종류 등등이다.
기본값으로 되어 있는 부분 그대로 두고 다음을 누르면 된다. 할 건 따로 없다.
다음 화면으로 지금 설치가 가운데 컴퓨터 복구가 있다. 신규 설치이기 때문에 당연히 가운데 클릭
설치 프로그램을 시작한다고 한다.
다음은 윈도우10 정품 인증을 위한 제품키 입력란이다. 알고 있는 시리얼키를 입력을 해준다.
아래쪽에 제품 키가 없음을 선택하고 우선 설치후 추후 인증을 해도 된다.
사용 조건등에 대한 내용 체크하고 다음으로 진행
이제 윈도우10 설치에 대한 유형을 선택해야 한다.
업그레이드냐 아래쪽 사용자 지정의 윈도우만 설치이냐이다. 신규이기 때문에 아래쪽을 선택한다.
다음은 파티션 선택 및 할당이다. 하드가 ssd 하나 그리고 데이터용 하나 이렇게 두개가 물려있다.
ssd통째 설치할꺼니 해당 파티션만 선택하고 넘어가면 된다. 새로 할당이나 재할다을 할 경우 삭제를 하거나 새로 만들기를 통해서 알맞게 용량을 넣으면 된다.
나는 그냥 선택 후 다음.
Windows 설치 중이라고 뜨고 몇가지 항목과 퍼센트가 보인다.
파일을 복사하고 설치 준비하고 기능 설치, 업데이트 설치, 완료 중의 순서로 된다. 따로 할것 없이 그냥 가만히 있으면 된다.
혼자 알아서 한다.
설치가 다 되어 간다.
완려가 되었고 계속하려면 windows를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라고 뜨고 바가 초록색으로 올라간다.
그냥 혼자 리붓 될때까지 가만 있어도 되고 오른쪽 아래 다시 시작을 눌러도 된다.
부팅 후 또 다시 윈도우10 설치 창이 처음으로 돌아간다. 그렇다 usb 메모리가 부팅 1순위기 때문에 또 거기로 들어간 것이다.
컴퓨터에서 이제 usb를 분리해주고 리부팅 한다.
이제 로고가 나오고 준비중이라 뜬다.
거의 다 되었다. 이제 몇가지 묻는것에 선택하면 완료 된다.
대부분은 처음 기본 선택되어 있는걸 놔두면 된다.
부팅 후 지역을 선택하라고 한다.
올바른 자판 배열인지 물어본다. Microsoft 입력기와 아래 옛한글이 있다. 기본값은 위쪽
두번째 키보드 레이아웃 어쩌구는 건너뛴다.
개인용 설정이 선택되어 있다.
다음으로 계정 설정이다. 이름과 비밀번호 입력 화면이 나온다. 알맞게 입력해준다.
보안 질문 작성도 선택하고 입력해 준다.
활동 기록이 있는 장치 간에 더 많은 작업 수행. 예를 했던가 아니오를 했던가 기억이 안난다. 잘못 택한다고 큰일 나는 것은 아니므로 대충 선택한다.
좀 지나면 안녕하세요가 나오고 또 몇분 정도 걸릴 수 있다는 메세지가 나온다.
그리고 이내 설치가 완료가 된다.
랜카드는 보통 자동으로 잡힌다. 브라우저를 띄워서 한번 이리저리 서핑해 본다. 어느것이든 화면이 뜨면 된다.
이제 해상도나 여러가지 옵션을 필요한대로 바꿔준다.
이렇게 윈도우10 설치 해보기는 완료가 되었다.
어려운 부분은 하나도 없다. 다음 다음 수준으로 하면 된다.
그 다음으로 남은 과정은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나 사운드 카드 드라이버, 기타 등등을 설치를 하는 과정이 남아 있다.
제조사 홈페이지를 가서 받거나 자동설치 도구를 활용을 하면 어렵지 않게 해 볼 수 있다.
BIOS모드가 레거시 인지 UEFI인지 확인 하려면 검색창에 msinfo라 입력해 준다.
레거시라 표기가 되어 있다. 다른 경우는 UEFI라고 표기가 되어 진다.
오늘 설치한 컴은 레거시로 적혀 있고 기존에 쓰던 서피스는 uefi라고 되어 있다.
메인 주력으로 쓸것은 아니긴 하지만 몇몇 익숙하지 않는 기본 설정들이 보인다.
시간 날 때 쉬엄 쉬엄 바꿔 준다. 화려한 것 보다는 심플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