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에는 개발을 할 때 퍼센트 계산기가 필요했어서 많이 이용을 했었다.
한동안 안하고 있다가 이번에 퍼센트 계산기 계산방법 등을 한번 정리를 해보았다.계산기를 활용을 하면 쉽게 해볼 수 있다.
물론 내가 사용했을 때 보다 지금은 매우 쉽고 다양하게 제공을 하고 있는 곳이 많이 있기 때문에 찾는데는 별로 어렵지 않다.
꼭 그런것이 아니더라도 물건을 구매를 할 때 할인 퍼센테이지를 보고 실제 얼마가 할인이 되는것인지..
혹은 행사를 하고 싶은데 얼마가 원금액의 몇프로인지 궁금할 경우가 있다. 여러가지 경우가 있는데 지금은 스마트폰이라도 있어서 쉽게 확인 할 수가 있다.
한달 월급으로 계산을 해본다면 209시간이라면 월급은 1,795,310원이 된다.
통상 일일 근무자는 209시간으로 계산이 된다. 한주에 40시간 + 8시간
365일을 7로 나누면 대략 52주 .14285주 그걸 12개월로 나눠서 48시간을 곱하면 대략 208.5714가 나오고 반올림 하면 209시간이 된다.
이전에는 엑셀에 표를 만들고 수식을 넣어서 일일이 계산을 해봤던 적이 있다.지금은 이러한 시급 계산기가 많이 있어서 그러한 것을 필요할 때 마다 이용해 본다.
바로 알바몬에서 제공하고 있는 시급계산기를 이용한다. 주급이나 월급등을 계산해 볼 수 있는 곳으 꽤 많이 있다.
익숙한 모습의 첫 화면이다.
아래쪽으로 쭉 내려가다보면 최저임금관련한 내용인 오른쪽에 위젯 형태로 나타나 있다.
일급 8시간 68,720원, 주급 40시간 343,600원 월급 209시간 1,795,310이라고 되어 있다. 그 아래 자세히 보기 부분을 눌러 본다.
임금과 관련해서 다양한 정보들을 읽어 볼 수 있다. 근로자 1명 이상인 모든 사업장이 포함이 되는 적용대상이나 몇가지 Q&A형태의 글들이 있다.
상단 위쪽에 알바급여계산기를 눌러 보면 된다.
신규 브라우저 창으로 뜬다. 여기에 알맞게 기입을 하고 계산을 해보면 된다.
시급이나 일일 근무시간 일주 근무일수, 월간 연장 근무시간, 주휴수당이 포함인지 아닌지 세금 적용할 건지, 수습기간인지 어떠한지 등등
풀 타임이 아니라 하루 4시간을 한다고 가정하고 대략적으로 해보면 대략 895,814원이 나온다.
세금이나 여러가지 수당, 시간등은 다르기 때문에 본인에게 맞거나 알고 있는 시간을 입력해서 간단하게 해보면 된다.
예상이 되는 주휴수당도 나타내 주기 때문에 한눈에 볼 수 있어서 편하다.
위쪽 콤보박스에 시급을 일급으로 주급으로 월급, 연봉으로 변환도 할 수 있다.
옆쪽 텝에는 예상이 되는 주휴수당을 해 볼 수 있다.
1주 근무시간을 선택하고 시급을 입력하면 간단하게 나온다.
24시간을 근무했을 경우 대략 41,232원이 나온다.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고 간단하게 해 볼 수 있다. 알바몬 아니더라도 각 포털 사이트에서도 비슷한 기능을 제공을 하고 있다.
이렇게 시급 계산기 정리를 해보았다.비슷비슷한 기능이기에 찾아보고 편한 부분을 선택해서 써보면 된다.
풀타임으로 일을 안해도 오전 타임이나 오후 타임 파트타임으로 할 때도 있다.
그럴 때 대략적으로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알아 볼 수 있다.
역으로 받는 급여를 시급으로 환산을 해보면 한시간에 내가 얼마를 받는구나 아는것은 당연한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