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이나 신용카드를 보통은 소비하는데 지불하는 수단으로 대부분 쓴다. 나는 근래는 현금보다도 카드를 더 많이 쓰는거 같다.
그만큼 간편하기 때문이다.그리고 각 지역 한정적으로 쓰이는 화폐도 꽤 다양하게 있다.
모처럼 경기도 지역화폐 사용처 확인을 해보았다.잘 정리가 된 곳이 있어서 쉽게 알아볼 수 있다.
몇몇 쓸 수 없는 곳이 있기는 하지만 자주 가는 곳이 가맹이 되어 있거나 할 경우에 써 보면 생각보다 편하기도 하다.
꽤 다양한 곳에서 쓸 수가 있는데 전체 목록을 다 외우고 다닐 수는 없으므로 방문할 예정이거나 가야 할 계획이 있으면 미리 알아보면 좋겠지
물론 오프라인으로 가서 사용이 가능한지 문의를 해보는것도 한 방법이다.
여기저기에 자료가 많이 있기는 하지만 그래도 한번 찾아보도록하자.휴대폰을 늘 들고 있기 때문에 필요시마다 몇가지 검색을 통해서 조회를 해보면 된다.
쓸 수 있는 경기도 지역화폐를 쓸 수 있는 가맹점을 지역별로 조회 하는 부분을 알아보면 도움이 되기도 한다. 좀 더 세부적으로는 업종별로 찾아보거나 알려진 전화번호를 통해서 문의를 하면 되겠지
시간이 가면 바뀔 수도 있겠지만 현재 기준으로는 경기 지역화폐 종류중 카드형을 알아보자.
수원/고양/부천/용인/화성/안산/남양주/동두천/안양/평택/파주/의정부/광주/군포/광명/하남/오산/이천/구리/안성/양주/의왕/양평/포천/여주/가평/과천/연천이다.
모바일형은 성남/시흥/김포이며 지류형은 성남/안양/평택/과천/안산/시흥/의왕/가평/포천이다.
사용 제한이 되는 곳은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SSM등의 직영 프랜차이즈와 유흥및 사행업소는 쓸 수 없고 연 매출의 10억 이하인 소상공인 점포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경기 지역 화폐는 해당 홈페이지를 참조해 보면 된다. 포털 사이트에 대부분 등록이 되어 있어서 찾는데는 어렵지 않다.
가맹점은 여기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재난기본소득 관련해서 신청이나 사용처등도 함께 볼 수 있다.
참고로 재난기본소득 사용처로는 지역화폐는 연매출 10억 미만 매장에서 가능다.
그리고 전통시장은 10억 이상 매장에서도 쓸 수 있다.
아래쪽에 가맹점 찾기를 눌러본다.
시나 군을 선택을 하면 거기에 속하는 목록이 나온다.
하남에서 지역화폐 사용처를 알고 싶으면 당연히 해당 시를 선택을 하면 아래쪽에 나온다. 수많은 가맹점이 업종별로 다양하게 있다.
특정한 상호가 속해 있는지 궁금하다면 이름으로 조회를 해보면 된다. 뭔가를 찾아볼 때 나는 아직도 스마트폰보다는 pc로 하는 편이 편함을 느끼기 때문에 가급적 컴퓨터로 찾아본다.
접속자가 밀려서 접속이 잘 안될 경우가 발생할 때는 경기지역화폐 운영대행사인 코나아이에서도 조회를 해볼 수 있다.
해당 지역을 선택을 하면 업종별로 찾아볼 수 있다.
홈페이지 주소이다.
https://search.konacard.co.kr/payable-merchants
앱도 있기 때문에 사용처 같은 경우 경기지역화폐를 설치해서 찾아보면 된다.어차피 사용할려면 설치해서 쓰긴 하지만 말이다.
앱에서는 폰의 내 위치를 활용해서 내 주변의 가맹점은 어떻게 되는지로 조회를 해볼 수 있다.
물론 지나면 달라질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기 때문에 결제 전에 문의를 먼저 해보는 것이 가장 정확하겠지.
이렇게 경기도 지역화폐 사용처 알아보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기본적인 개요가 어떻게 되고 종류는 어떻게 되며 일반발행과 정책발행은 뭐가 다른지 등도 한번 읽어볼 만 하다.
구입을 해야 할 경우도 해당 지역화폐 홈의 구입안내 메뉴에 소개가 되어 있다. 혹은 각 시청 홈페이지를 방문해서 참고를 해보면 된다.
각 도시별로 카드형인지 지류형인지 모바일형인지 등으로 나뉘어 있기도 하고 해당 형태로 서비스 중인 시 군 등도 더불어 확인할 수 있다.
몇몇 지역은 앱사용절차가 다를 수가 있으므로 신청하기나 충전, 사용방법등도 미리 익혀두면 좋다.
이와 관련해서는 꽤 많은 곳에서 정리가 되어 있으므로 내가 사는 지역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금방 파악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