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통관 고유번호 발급 정리

국내에서 매우 다양하게 올라와 있어서 신용카드등을 이용해서 쇼핑을 하고 결제를 하는 일은 일상적이다.


오프라인 구매보다는 나 역시도 온라인으로 사고 택배를 기다리는 경우가 많다.


모처럼 개인통관 고유번호 발급 정리를 해보았다.

해외 직구를 하거나 유명몰에서 해외라고 표기가 되어 있거나 하는 경우는 통관고유번호가 필요하다.


이 부분을 발급을 받아서 제공을 해야 정상적인 주문이 된다.


받는 부분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이전에 만들어 놨는데 한동안 안쓸 때 조회를 해서 해볼 수도 있고 살 경우가 외국이 많다면 받아야 한다.


개인통관 고유번호 발급 정리


나는 주변 지인이 그동안 자기꺼 사면서 내꺼도 끼워 사줬기 때문에 할 필요성을 못 느꼈는데 이번에 아이허브에서 구매를 하면서 만들게 되었다.


번거롭지 않을까 귀찮지 않을까 하고 차일피일 미루다가 했는데 생각보다 간단했다.


평생에 딱한번 하고 말것도 아니고 자주자주 써야 하기 때문에 그 때마다 부탁하기는 번거롭기도 하고 그리고 당사자의 스케쥴에 따라 더 기다려야 하는 경우도 있으니 이참에 받아보았다.

어디에 적어놓거나 아니면 필요할 때 다시 조회를 해보아도 된다. 받기 위해서 별도로 회원가입을 할 필요는 없다.


먼저 받을 수 있는 관세청 부호 발급받는 사이트로 이동을 해보자. 


포털등에서 대부분 등록이 되어 있어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첫 화면이 나오는데 모바일 관세청 앱을 설치후에 발급이 가능하다고 나와 있다.



설치를 해서 받던지 pc로 받던지 편한대로 하면 된다. 본인인증을 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아래쪽에 보면 이름과 민번 그리고 인증방법을 선택해서 확인을 해볼 수 있는 란이 있다.



잠시 기다리면 잠깐 로딩이 지나간 후 새 팝업창이 뜬다. 이 때 쓰는 브라우저의 팝업차단 기능은 꺼두거나 풀어 놓는 것이 좋다.


신규 발급인지 조회나 재발급인지 유무를 물어본다.



공인인증서나 휴대폰인증을 통해서 신청을 하면 된다. 나 같은 경우는 폰으로 본인확인을 하였다.



발급 신청란 별표가 되어 있는 부분은 당연히 필수로 입력을 해서 등록을 해야 한다.



간단하게 신청을 하게 되면 P로 시작하는 숫자로 된 코드를 받아 볼 수 있다.


빨간색으로 크게 표기가 되기 때문에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 부분을 필요로 하는 곳에 붙여주면 된다.


세관발급신청을 할 경우는 신청서와 주민등록증 사본을 가지고 가면 된다.


시스템 발급 관련된 문의는 1544-1285번으로 하면 되고 해당 사이트의 신청 안내 페이지를 살펴보면 각지역 세관 전화번호가 적혀 있어서 참고 하면 된다.



신청서는 그 페이지 아래쪽에 있고 작성방법등에 대한 설명도 나와 있다.


본인인증만 된다면 받는데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아니기 때문에 필요할 때 활용을 하면 된다.


이렇게 개인통관 고유번호 발급 정리를 해보았다.

나도 해보기 전에는 번거롭고 뭘 또 깔고 준비를 하는게 많고 복잡한가 하고 막연하게 생각을 하고 해외구매를 해야 할 경우는 피하거나 부탁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받고 난뒤에 어딘가에 적어서 메모를 해두었는데 어디로 갔는지 또 안 쓴지 몇일 됬다고 기억이 안난다.


그래도 휴대폰 번호를 가지고 다시 재조회를 해보면 알 수 있는 부분이므로 필요할 때 그 시점에 또 찾아서 쓰면 된다.